story.mofat.go.kr/mofatstory.do?seq=728
[윤진영] 깔아놓은 멍석에서 춤을 출 줄 모르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된다
2011.09.02 06:23

MOFAT STORY

  • [윤진영] 깔아놓은 멍석에서 춤을 출 줄 모르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된다
    • 2011.09.02 06:23masteryun
  • [윤진영] 깔아놓은 멍석에서 춤을 출 줄 모르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된다



    우리 외교부에서 소통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꾸준히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직접적인 업무보고를 위한 공문의 왕래에서

    수년에 걸쳐 파티스라는 내부망의 이메일과 게시판이라는 공간으로 확장되었고,

    이제는 이렇게 인터넷 상의 소셜허브를 통한 소통의 공간을 마련하는데 까지 이르렀습니다.



    저는 이 소셜허브의 출발(launching)을 기획하거나, 프로그래머로서 이 웹을 만들지도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팟스토리를 만들어 올리자고 결정하신 '윗분'들의 속 뜻까지는 알 수 없으나,

    공문을 통해 알게 된 이 모팟스토리에 일개 사용자로서(그것도 승진도 없는 말단직원 중에 하나인 행정원으로서)

    안에 들어와 글을 살피며 제작 취지를 느꼈고, 이에 공감했기에 용기를 내어 이렇게 글을 쓰고 있습니다.



    요즘처럼 인터넷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넘쳐나는 현실 속에서

    외교부가 소통을 위한 이런 장치를 내부망이 아닌 바깥(인터넷)에 따로 만들어

    우리 부 안의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참여하게 한 것은

    단순히 우리에게 이런 것이 있다고 바깥에 보여주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이 모팟스토리를 좀 더 여유로우며 다방향성을 지닌 의사소통을 위한 길로써,

    단순정보만이 아니라 아이디어와 감성이 흐르는 통로, 광장으로써

    활용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동안에도 여러가지로 이야기할 '꺼리(것)'들은 많았으나

    조직 서열과 관계한 의사소통의 무게에 눌려 나오지 못했던 것들,

    사안의 경중을 따지며 다루지 못했던, 자잘하고 다양한 그런 것들이

    이곳에서 조금 더 부담없이 다루어지고 나뉘어지도록 하자라는

    취지를 포함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닫혀있던 입들을 열어주는 기회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틔여진 입들에서 나온 이야기들이 그동안 귀기울이지 않던 사람들에게 들려

    공동의 관심사가 되고, 정해진 시간 안에 처리해야하는 업무의 연속 속에서

    우리들의 업무들을 서로 이해하는 동료들과 업무를 벗어난 주제에 대해 서로

    이야기할 수 있는 곳...



    그런 곳이 바로 이곳 모팟스토리라고 생각하며, 저는 그렇게 이 모팟스토리에 참여하고자 합니다.



    몰론 저와 의견이 다르신 분들도 계실 것이고,

    제가 올리는 글이 못 마땅하게 여겨지시는 분들도 계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런 모든 분들이 이렇게 깔아 놓은 멍석 앞에서 춤도 추지 못하고

    멍하게 바라보다 떠나는 그런 구경군으로 끝나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멍석 위에 올라 춤을 춰보려는 사람들을 비난이나 야유로 끌어내리는

    그런 사람이 되어서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낯 뜨거울 수도 있겠지만... 시시콜콜하게 세부사항을 보여주지 못했던 부분들의 홍보도 하고,

    우리부의 경험 많은 선배가 다른 나라에 멀리 떨어져 얼굴도 잘 모르는 후배들에게 조언도 할 수 있고,

    반대로 후배가 잘 알지 못하는 선배들에게 건전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묻고 상담할 수도 있는 그런 곳을

    함께 만들어가고 서로 누리는 그런 곳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곳 모팟스토리(Mofat Story)가...



    - 윤진영 씀


    필명

    : masteryun

  • 이메일 : jnyyun10@mofat.go.kr / master_yun@hotmail.com
  • 이름 : 윤진영
  • 연락처 : 50689922047
  • 부서 : 아메리카 > 주코스타리카(대)
  • 트위터 계정 : master_yun
  • 페이스북 계정 : master.yun
  • 자기소개 : 깔아놓은 멍석에서 춤을 출 줄 모르는 사람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마음으로 모팟스토리에 가입했습니다. 진정 通(통할 통)하기 위해 깔아놓은 멍석인지, 統(거느릴 통)하기 위해 깔아놓은 멍석인지는 사용자(글을 쓰는 이, 읽는 이, 관리하는 이)들에게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한번 通해볼까요~

Posted by Master. Yun, Jin Yeong
삶 Life Vida2010. 6. 1. 14:40


오늘 동료와 저녁식사를 하면서
왜 사냐면 어떻게 대답할거냐는 물음을 받았다.
왜 사나?
나는 할 일도 많고 하고 싶은 일도 많아 주절주절 이야기할 것이 많다고 하며 얼버무렸다.

그러나 그 질문을 듣는 순간부터 한동안 멎어있던
머리 속의 한 부분이 째깍째깍 움직이기 시작한다.
음... 그래... 나는 왜 사나... 다시 삶의 이유를 생각하게 된 것이다.
내 몸 속 어딘가에서 멎어있던 것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동안
그는 읊조렸다.

예전에는 살기위해 먹는 줄 알았는데, 지금은 먹기위해 사는 것도 같다고 했다.
본능적인 부분을 채우기 위해 사는 것... 살아지는 것...
그의 말을 들으며 꿈이나 희망이 액자에 갇혀있는, 공허한 듯한 느낌을 받았다.

나는 되물었다. 생각하는대로 사는가? 아니면 사는대로 생각하는가?

그는 생각하는대로 산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그 순간 그의 한 곳에서 멈춰있던 부분이 째깍거리는 것이 느껴졌다.
생각하는대로 사는가? 아니면 사는데로 생각하는가?

나는 바꾸어 물었다.
꿈이나 희망이 있냐고.

우리는 자리에서 일어나서 차를 타고 나왔다.
분위기가 묘하다.

그건 내게 던진 질문이다.

꿈이나 희망이 있나?

음. 있다.

뭔데?

음 주절주절 늘어놓을 정도로 많아.

그럼 말해봐.

그래.

내 꿈은... 내 희망은...

시간이 들더라도 이건 말로 하는 것보다는
만들어서 이루어서 보여주는게 좋겠다.

두고봐 내가 보여줄께. 이뤄놓고 이야기해줄께.
이게 바로 내 꿈이었다고. 내 희망이었다고.

말로만 하고 사라질까봐 속에 품고 있었던
바로 그것을 내가 이렇게 이루어 놓았다고.

왜 사냐고?

하하하! 갈켜줄께 조금만 기다려.

- 2010년 5월 31일 월요일
- 중남미 코스타리카에서
- 윤진영 씀

Posted by Master. Yun, Jin Yeong
모바일 블로깅을 하면서…

Diarist 2.0 은 글을 올리기에 좋고, P0CKET BL0GER는 쓴 글을 읽고 수정하기에 좋다.

Diarist 2.0 은 처음 시작할 때, 블로그 글의 리스트를 읽지않고 직접 새글쓰기로 들어가는 반면, P0CKET BL0GER는 블로그 글의 리스트를 읽어 보여주면서 시작하기 때문에, 당장 백지에 글을 쓰려고 화면을 들여다보는 내 경우에는 마음이 좀 어지럽다.

게다가 Diarist 2.0 은 글쓰기 모드에서 스타일러스펜을 사용한 C0PY&PASTE가 자유롭고, 글쓰기 창이 입력창(키보드 또는 필기입력창)의 유무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반면에,
P0CKET BL0GER는 C0PY&PASTE가 불편하고, 글쓰기 창의 세로크기가 고정되어있어서 입력창 (키보드 또는 필기입력창)이 본문입력용 테이블을 덮어버리면 쓰고있는 글을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창의 세로길이가 화면보다 크면, 심지어 스크롤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지금도 P0CKET BL0GER로 글을 수정하는 중인데, 정말이지 입력환경의 개선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둘다 사진을 직접 올리는 기능을 제공하고, P0CKET BL0GER는 Y0UTUBE를 이용하여 동영상까지 직접 올릴 수 있다고 하지만…아마 그 기능은 WM5이상의 신형PDA를 위한 것같고,
내 PDA에서는 아무리해도 사진을 직접 올리는 기능을 성공시켜 보지 못했다.(내 PDA는 HP ipaq RW6100으로 WIND0WS M0BILE 2003 SE를 사용한다)

고로 Diarist 2.0 을 글을 올리기 위해 사용하고, P0CKET BL0GER는 쓴 글을 읽고 수정하기 위해 쓴다.

아참! P0CKET BL0GER는 한글메뉴가 지원되는 토종 프로그램이며. DIARIST2.0은 뉴질랜드 사람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한글메뉴를 지원하지 않는다.

-엘살바도르에서
-윤진영씀

有口無言은 이제그만!!!








Posted by Master. Yun, Jin Yeong